목록SW 개발/ABAP(SAP) (18)
DATA101
본 포스팅에서는 매출채권과 매입채무 각각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알아봅니다. 1. 매출채권(Trade Receivable) 매출채권이란 기업이 재화나 용역을 판매하는 과정인 수익창출 활동에서 발생한 채권으로 Trade Receivable라고 부릅니다. 매출채권은 채권 형성 방법에 따라 외상매출금과 받을어음으로 나뉩니다. 1) 외상매출금(Accounts Receivable) 채권이 구두 약속으로 형성된 매출채권을 외상매출금이라고 합니다. 즉, 상품을 판매하고 그 대금을 외상으로 하는 경우입니다. 통상적으로 30일~3개월 이내에 대금을 회수할 수 있는 수취채권으로, 기업이 고객에게 무이자로 단기간의 신용공여*를 제공한 경우라 볼 수 있습니다. ※ 신용공여: 채권자의 자산을 채무자의 신용을 기반으로 일정기간 활..
본 포스팅에서는 수출/수입 업무 Flow 이해를 위한 용어를 간략히 정리해 봅니다. Letter of Credit(L/C) 은행에서 구매 업체의 신용을 고려하여 구매자가 거래금을 지급하지 못하더라도 판매자에게 거래 대금을 은행이 보증하고 지급해 주는 증서 판매업체 대부분은 L/C 개설 희망 한국어로는 신용장(信用狀)이라 부름 은행발행 신용장은 국제무역대금의 결제수단으로 주로 사용 수입용 LC(Import LC, I/LC), 수출용 LC(Export LC, E/LC)로 나뉨 Local L/C(L/LC) Local Letter of Credit의 약자로, 국내에서만(Local) 통용되는 내국신용장 L/C에 비해 수수료 저렴 회사 간 신뢰도가 낮을수록 L/C, L/LC, 현금거래 순으로 거래 체결 예를 들어,..
본 포스팅에서는 Trade Contract의 개념에 대해 간략히 알아봅니다. Trade Contract(TC)란? "무역계약" 의미 구매 주문(Purchase Order, PO)과 판매 주문(Sales Order, SO)에 관련한 모든 정보 포함 수입/수출 업무에서 사전 오더의 다음 업무 프로세스 사전 오더Release를 통해 TC 생성 TC를 release 하면 PO와 SO 동시 생성 TC를 통해 예상 Margin 확인 가능 판매 시점에 보험료, 운송비 등의 부대비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margin은 예상 금액 TC 업무 Case TC 생성 사전 오더*Release를 통해 TC 생성 ※ 사전오더: 계약 성사되기 이전 단계부터 성사될 때까지의 영업정보 관리(구매&판매 단가 포함) TC를 Release 하여..
본 포스팅에서는 SAP ERP에서 Client, Company Code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봅니다. Client SAP 내 모든 모듈에서 최상위 Organizational Unit(i.e., 부서(Department)) 세 자리 숫자 조합으로 정의(e.g., 000, 001, 400)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Client 설치 가능 비즈니스 관점에서 시스템 내 Company Group 의미 기술적 관점에서 별도의 마스터 레코드테이블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독립된 단위마스터 레코드 테이블 세트 SAP 시스템 로그인 시 필수 입력사항 동일 서버에 여러 Client가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Client를 선택해 로그인하게 되는데, 로그인 이후에 사용자가 등록하는 Application 데이터는 해당 클라..
본 포스팅에서는 인코텀즈 개념과 11가지 무역거래조건에 대해 각각 알아봅니다. Incoterms 개념 인코텀즈(ICC rules for the us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de terms, Incoterms)란 국가 간 무역활동에서 통용되는 무역거래조건에 관하여 국제상업회의소(ICC)가 제정한 규칙입니다. 인코텀즈는 판매처(Vendor)에서 구매처(Customer)까지 상품이 거래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부담(Risk)과 책임자 등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인코텀즈는 1936년에 처음으로 공표된 이후로 10년 주기로 개정되어 왔으며, 현재 최신 개정판은 '인코텀즈 2020'으로 2020년 1월 1일에 발효되었습니다. '인코텀즈 2020'을 기준으로 수출과 수입 측면..
본 포스팅에서는 SAP에서 CTS, Sandbox, Transport Organizer, IMG, NOTES에 대한 개념을 간략하게 정리해 봅니다. 1. SAP 서버 환경 구성 CTS 개념에 대해 이해하기에 앞서 SAP의 서버 환경 구성에 대해 이해하셔야 합니다. SAP는 일반적으로 3개의 독립된 서버를 구성하여 서버 환경을 구축합니다. 첫째, DEV 개발 서버는 ABAP Workbench를 통해 프로그램을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하고 단위별로 테스트하는 개발, Cutomizing, Sandbox 시스템 역할을 합니다. 둘째, Quality Assurance Server(QAS)는 운영 서버에 반영하기 전 최종적으로 통합 테스트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통합 테스트가 완료된 후, PRD 운영 서버는 업..
본 포스팅에서는 SAP에서 패키지, Software Component, Transport 개념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봅니다. 1. 패키지(Package) SAP에서 패키지(Package)란 프로그램과 같은 객체(Object)를 기능별로 관리하는 개발 클래스(Development Class)입니다. 패키지는 객체를 구조화(Structure)하고, 객체의 기능을 모듈화(Encapsulate, Modularize)합니다. 또한, 객체를 기능별로 구분(Classifify)하는 역할을 합니다. 실무에서는 업무 모듈별로 프로그램(Object)을 구분하기 위해 개발 클래스 그룹별로 묶어서 관리합니다. 나아가, 각 모듈에서도 업무 영역별로 더 세분화하여 패키지를 관리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개발 클래스 그룹이 ZS..
본 포스팅에서는 SAP 기본 화면 구성과 SAP Workbench 개발 도구를 알아봅니다. 1. SAP 기본 화면 구성 SAP 기본 화면 구성은 그림 1과 같습니다. Command Field: Transaction Code(T-CODE) 입력을 통해 프로그램 실행 ※ Transaction Code: SAP에서 함수에 빠르게 접근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데 활용되는 코드 Menu Bar: T-CODE 입력 없이 메뉴 선택을 통해 프로그램 실행 Standard Tool Bar: 모든 프로그램에서 조회되는 도구 모음 Application Tool Bar: ABAP 개발자가 조정 가능한 도구 모음 SAP Menu: 계층구조로 업무 프로세스 관리 기능 2. ABAP Workbench ABAP 프로그램 구현을 ..